모집
2015.05.18
| 
             2015년 문화다양성 확산을 위한 무지개다리 사업 교육매개자 코칭워크숍「별*별* 스튜디오」 
             | 
        
| 
             각국의 노래를 매개로 다름을 존중하고 함께 어울리며 다른 문화를 공감하는        ○ 교육과정  
                * 문의/접수 : 생활문화사업팀 032- 320-6332     ngs86@naver.com1) 기본과정: 각국의 노래를 매개로 상호문화에 대한 문화적 감수성 향상 2) 심화과정: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커리큘럼의 기획과 실행 경험 ○ 교육일정 : 매주 목요일 1회, 15:30~17:30 (120분) ○ 교육구성 : 예술(체험)활동 activity (50분) / work-shop 결합(70분) ○ 참여대상 : 교육매개자(교사, 강사, 교육기획자 등) 약 20~30여명 ○ 교육장소 : 복사골문화센터 3층 공동체센터 교육실 ○ 신청방법 : 첨부파일 다운로드 후 이메일 접수 (선착순) ○ 공동수행 : 다국적노래단 몽땅, 부천문화재단 ○ 주관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 
             
  | 
            
             주제 
             | 
            
             영역  
             | 
            
             목표  
             | 
            
             프로그램  
             | 
        |
| 
             1주 
             | 
            
             차이를 
            다룬다  | 
            
             관점 
             | 
            
             선입견 , 다름에 대한 태도의 수용방법을 다룬다. 
             | 
            
             - activity : 상호 인터뷰를 통한 자기 소개 
            - 핵심 프로그램 : 몽땅 소개(공연) 및 공통 노래 배우기 1 “ 우리 모두 다함께 ” 
             | 
        |
| 
             2주 
             | 
            
             문화다양성의 의미와 방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문화다양성을 위한 공감활동을 진행한다. 
             | 
            
             - activity : 몸 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의 이해 
            - 핵심프로그램 : 공통 노래 배우기 2 
            “우리모두 다함께” 노래 부르기를 통한 문화다양성의 이해 
             | 
        |||
| 
             3주 
             | 
            
             노래를 
            다룬다  | 
            
             소통 
             | 
            
             각국의 노래 배우기를 통해 서로 다른 문화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이를 통해 공감과 상호 문화수용력을 높인다. 
             | 
            
             - 공통 activity  
            발성과 신체훈련 
             | 
            
              필리핀 노래와 놀이 
             | 
        
| 
             4주 
             | 
            
              미국 노래와 놀이 
             | 
        ||||
| 
             5주 
             | 
            
              중국 노래와 놀이 
             | 
        ||||
| 
             6주 
             | 
            
              몽골 노래와 놀이 
             | 
        ||||
| 
             7주 
             | 
            
             관계를  
            다룬다  | 
            
             자발적 
            성장 
             | 
            
             “우리들의 노래” 만들기를 통해 창의적 학습과 교육을 통해 자기발전과 동기 부여한다 
             | 
            
             - activity : 신체 훈련과 노래부르기 
            - 핵심프로그램 : 간단한 리듬이나 멜로디를 응용하여 노래말을 창작하는 시간 
             | 
        |
| 
             8주 
             | 
        |||||
 
| 
             
  | 
            
             주제 
             | 
            
             영역 
             | 
            
             목표 
             | 
            
             프로그램 
             | 
        
| 
             1주 
             | 
            
             대상의  
            이해 1  | 
            
             man power - up 
             | 
            
             교육현장에서 만나는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의 소통과 이해  
             | 
            
             -activity : 노래 부르기와 듣기 
            -핵심 프로그램 : 관계맺기의 연출 “입장바꿔 생각하기” 
             | 
        
| 
             2주 
             | 
            
             대상의  
            이해 2  | 
            
             문화다양성의 사고로 접근하는 교사 역량강화 
             | 
            
             - activity : 노래 부르기와 듣기 
            - 핵심프로그램 : 신체 활동을 통한 감각깨우기, 교사의 역할과 시각에 대한 토론 
             | 
        |
| 
             3주 
             | 
            
             커리큘럼 
            기획 1  | 
            
             문화다양성 교육 커리큘럼 기획하기 1 
             | 
            
             - activity : 노래 부르기와 듣기 
            - 핵심프로그램 : 자원의 활용 ( 교육 시간, 대상, 목표에 따른 기획 ) 
             | 
        |
| 
             4주 
             | 
            
             커리큘럼  
            기획 2  | 
            
             문화다양성 교육 커리큘럼 기획하기 2 
             | 
            
             - activity : 노래 부르기와 듣기 
            - 핵심프로그램 : 실행과 운영 (커리큘럼의 세부구성 기획 ) 
             | 
        |
| 
             5주  
             | 
            
             발표회  
            기획  | 
            
             운영과  
            실행  | 
            
             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표회 기획하기  
             | 
            
             - activity : 노래부르기와 듣기  
            - 핵심프로그램 : 발표회의 구성파악과 기획 
             | 
        
| 
             6주 
             | 
            
             open work-shop 1 
             | 
            
             2시간 단기 프로그램의 기획 
             | 
            
             - activity : 노래 부르기와 듣기 
            - 핵심프로그램 : 단기 프로그램 기획과 시뮬레이션 
             | 
        |
| 
             7주 
             | 
            
             open work-shop 2 
             | 
            
             현장학습 
             | 
            
             - 교육대상자에게 직접 실행해 보는 체험 프로그램 
             | 
        |
| 
             8주 
             | 
            
             평가와  
            소감나누기  | 
            
             교육현장의 적용 
             | 
            
             - 16주 간의 과정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각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전망을 나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