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블러 배경

  1. 홈
2025043020040813

공연종료

부천문화재단 2004 기획초대전 <강선구 한국화展>

  • 기간

    2004-08-13

  • 장소

    복사골갤러리

  • 시간

    13500

  • 문의

    032-326-6923(내선 233)

◈ 전시기간 : 8월 13일(금) ~ 8월 22일(일) : 쉬는 날 없음
◈ 관람시간 : 오전 10시 - 오후 7시

◈ 관람료 : 무료

부천문화재단은 8월 13일부터 2004 기획초대전으로 ‘강선구 한국화전’을 개최한다. 역량 있는 작가를 초대하여 매년 1회씩 개최하는 기획 전시로 지난해에는 ‘김준권 목판화전’을 기획하여 호평 받은 바 있다. 올해는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한국화가 강선구의 작품을 전시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이 보다 친근감 있게 다가설 수 있도록 하였다.
강선구 작가의 작품은 지필묵으로 드로잉한 후 배접을 하고 철심으로 긁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화선지가 겹겹이 쌓인 중층적 구조 속에서 안료가 드러나며 형상을 이루는 독특한 방식으로 제작되어 명료한 시각성 보다는 복합적인 텍스트성에 호소한다. 이러한 방식은 작가가 작품을 배접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긁혀나간 것을 보고 창안하게 된 것으로 젖은 상태의 화선지가 긁히면서 나오는 선들의 형태와 비치는 모습이 다채롭다.
이번에 전시되는 총 25점의 작품 중 20점은 올해 처음 전시되는 신작으로 생명, 환경, 인간 등 보다 근원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나무, 수풀, 바다, 숲, 사찰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선들이 은폐와 드러냄을 반복하는 작품 구조 속에서 또 다른 형상으로 드러내 보이는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작가의 새로운 면모를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전시 기간중 관객에게 작품 제작 과정 및 동양화 이론을 담은 자료를 제공하여 미술 감상과 동양화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할 예정이다. 개막은 8월 13일(금) 오후 5시이며 부대행사로 ‘해금과 대금의 어울림(연주자 : 박혜영, 김형민)’이라는 국악공연이 진행된다.

“강선구의 작품은 하나로 집약된 테마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보다 생명, 환경, 인간과 그것들의 관계같은, 보다 근원적인 면에 관심을 쏟았다. 작품에는 나무, 수풀, 꽃, 바다, 숲, 사찰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선들이 하나 또는 여럿의 흐름 속에서 떠돌고 있다. 많은 작품에서 콩깍지나 콩의 모티브가 눈에 많이 띄는데, 그것은 본질적인 생명의 근원, 종자, 씨앗, 태동 등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작가는 밝힌다. 그가 나름대로 고안한 방법론에 의해 걸러진 자연의 이미지는 명료한 구체성이 사라지고, 은폐와 드러냄을 반복하면서 또 다른 형상으로 태어난다. ”
미술평론가 이선영의 글중에서 ……..


▶ 작가 프로필

강선구 (姜善求) - 1951 경기출생
- 1974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한국화전공) 졸업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1동 399 반달마을ⓐ 1836-1103

◈ 개인전
- 1988 로얄미술관
- 1992 금호미술관
- 1993 부천홍보관
- 1996 SPAIN Madrid(NEPTUNO Gallery)
- 1998 한국문예진흥원 미술회관
- 2000 LG 가나 Gallery


◈ 그룹전 및 단체전 활동
- 1981 ~現 한국미술협회전 (예술의전당 등)
- 1981~82 경인일보사 초대작가전 (이당기념관)
- 1985~88 청토회전 참가 (동덕미술관)
- 1985~92 창림회전 참가 (미술회관 등)
- 1985~現 오늘과 하제를 위한 모색전 (동덕,관훈,미술회관,동산방 등)
- 1985 현대 한국화 시각전 (관훈미술관)
한국화-새로운 세대의 의식과 표현전 (제3미술관)
墨에 의한 젊은 시각전 (동덕미술관)
- 1986~98 국제 선면전 참가 (日本 동경도미술관)
하나의 압축-한국화 현황전 (아르꼬스모)
- 1987~現 成墨會展 참가 (수원문화원 화랑 등)
한국화-오늘의 신표현전 (동덕미술관)
80년대 채묵의 동향전 (광주인재미술관)
한국화 모습전 (동덕미술관)
『삶의터』작가전 참가 (부천시민회관)
- 1988~現 경기미술대전 초대작가전 (경기문예회관)
경인작가 초대전 (경인미술관 기획)
- 1988~93 일본 청추전 참가 (동경도미술관)
- 1990 오늘의 지역작가전 (금호미술관)
경인일보사 초대작가전 (수원문화원)
한국화-오늘과 내일전 (워커힐미술관)
- 1992 한국성-그 현장전 (경인미술관)
문인화정신과 현대회화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2~現 인천현대미술초대전 (인천문예회관)
- 1993 한.일 현대미술의 오늘전 (문예진흥원미술회관)
서울현대한국화전 (서울시립미술관)
한국인의 정서-자연에로의 귀환전 (갤러리마을)
월간경기 초대작가전 (경기문예회관)
- 1994 한국현대미술초대전 (중국미술대학)
찾아앉는자리전 (연갤러리)
ASIA의 새로운도약전 (워커힐미술관)
- 1995 현대회화의 초대전 (경기문예회관)
중앙미술전 (종로갤러리)
부천향토작가전 (부천문화원)
ASIA의 새로운도약전 (日本 한국대사관 문화원)
- 1996~現 부천+가와사끼교류전(日本 가와사끼市 및 부천시민회관 등)
- 1997 실크로드기행전(부천문예전시관)
한국현대미술 MADRID 전 (NEPTUNO Gallery)
選 Gallery 개관 20주년 초대전
- 1997~現 인천.부천 한국화 「동상이몽」展 (인천문예회관 및 복사골Gallery)
흙과 불의 정신전 (이천시민회관)
경인미술의 새로운지평전 (LG 가나 Gallery)
- 1998 PIFAN 미술제 (부천시청아트스페이스)
- 1999 選 Gallery “봄의 소리” 초대전
- 2001 한.중교류전 (上海 미술관)
변혁기의 한국화-투사와 조망전 (공평아트센터)
PIFAN 미술제 (LG 가나 Gallery)
- 2002 오늘과 하제를 위한 모색전 (라메트 Gallery 기획)
한국미협 전국지부장초대전 (단원미술관)
동상이몽전 (인천문예회관)
한.일 현대미술 교류전 (수원미술관)
부천.오까야마 교류전 (SILK GALLERY)
- 2003 Art & Musicqe Festival (France Marly Le Loi)
인천현대미술 초대전
고양현대미술제 (호수 Gallery)
富川.岡山(日本) 교류전 (日本 Bessne Gallery)
現在 한국미협, 삶의터 작가회, 오늘과 하제를 위한 모색전(명예회원), 성묵회
동상이몽전 회원, 한국화 창작실 線墨軒 講主

◈ 경력 및 수상
- 경기예술대상수상 (1994년)
- 오늘의 한국미술전 장려상수상 (1994년)
- 국제선면전 선면미술상수상 (1993년)
- 경기미술대전 초대작가 (1990년~現)
- 경기미술대전 운영위원역임 (1990년, 96년)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과 강사역임 (1989~90년)
- 경인미술대전 초대작가 (現) 운영위원역임 (1985~95년)
- 부천시문화상 수상 (1999년)
- 인천미술대전 운영위원역임 (2000년)
- 경기미술대전 심사위원역임 (1998, 2001년)
- 중앙대학교 한국화 총동문회장 (2002 ~)- 성남시 미술대전 심사위원 (2001년)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