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문화재단 Bucheon Cultural Foundation, 문화와 예술을 삶으로 잇는도시 구현
부천문화재단 지역 네트워크 협의체
- 모집대상 : 문화정책자문단 10명
- 신청 기간 : 2025.07.08-08.01
- 문의 : 정책기획부 032-320-6358
2025.07.08(화) ~ 08.01.(금)
문화정책 자문단 2025 모집기간 연장

부천문화재단 공고 제2025-092호
「2025 지역 네트워크 협의체」 문화정책자문단 모집 연장 안내
부천문화재단은 시민·예술가·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협치 기반 정책플랫폼, 「부천문화정책라운드」를 운영하고자 합니다.
현재 문화정책에 대해 다양한 시선과 논의가 오가고 있습니다.
그 첫걸음으로 재단은 '문화정책자문단'을 구성하여, 부천형 문화정책의 방향성과 실행 기반을 함께 고민하고 제안할 협의체 활동가를 모집합니다.
때론 질문으로, 때론 참여로 이 플랫폼이 더 넓고 탄탄해지길 바라는 문화정책 전문가분들의 생각을 기다립니다.
많은 관심과 논의 속에 진행된 이번 모집은, 더 넓은 참여와 다양한 관점을 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접수 기간을 연장합니다.
※ 모집 마감일 연장: 2025년 8월 1일(금) 18:00까지
문화는 정답보다 '함께 만드는 과정'에 가치를 둡니다. 그 과정에 동참해 주실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5년 7월 22일
(재)부천문화재단 대표이사
1. 모집 개요
-
공고명 : 2025 지역문화정책 협의체 『문화정책자문단 및 문화정책시민랩』활동가 공개모집
※본 협의체는 2025년 시범운영을 통해 방향성과 실효성을 검토하고 제안 의제를 수렴한 뒤, 2026년부터 본격적인 정책플랫폼으로 정식 운영될 예정임
-
모집인원: 총 20명
- 문화정책자문단(전문가 그룹): 10명 ※모집 연장
- 문화정책시민랩(시민예술가 그룹): 10명 ※접수 마감
- 모집분야 : 문화정책자문단 추가 모집
- 모집방법: 공개모집
- 모집기간:2025. 7. 8.(화) ~2025. 8. 1.(금) 18:00까지 [25일간]
- 위촉기간 : 2025년 9월 ~ 12월 (4개월간) ※활동성과에 따라 2026년 활동 연장 가능
-
활동내용
구분에 따른 활동 내용으로 구성
구분 |
활동내용 |
문화정책 자문단 |
- 부천형 문화정책의 중장기 방향성 제안 및 구조 정책자문
- 문화정책 트렌드, 사회변화(AI, 콘텐츠산업 등)에 대한 인사이트 제공
- 예술가와 유통, 콘텐츠 산업 연계한 지역 기반 문화경제 모델 제안
- 지역 예술생태계의 지속가능성 등 정책 아이디어 도출
|
문화정책 시민랩 |
- 재단 주요 사업에 대한 현장 피드백 및 질적 모니터링
- 시민참여형 문화정책 제안 및 예산 편성 우선순위 의견 제시
- 특정 문화정책사업의 우선순위 도출 및 시민체감도 제고를 위한 제언
- 생활밀착형 문화이슈 발굴 및 실현방안 모색 등
|
-
활동혜택
- 회차별 활동비 지급(1회 10만원/ 활동지 제출 필수)
- 문화정책플랫폼 협의체 위촉장 수여 및 활동증명서 발급
- 제안된 아이디어는 재단 이슈페이퍼 또는 정책기획 및 예산반영 검토 등에 활용 예정
-
의무사항 ※공모 연장으로 인하여 일정 변경됨
-
오리엔테이션, 후속회의 및 포럼 참석 필수
- 문화정책자문단 오리엔테이션: 2025. 9. 3.(수) 14:00
- 문화정책시민랩 오리엔테이션: 2025. 9. 4.(목) 19:00
- 후속회의(9월~10월/총2회), 통합포럼(11월 예정)
활동지 제출 ※협의체 회의 후 활동 내용 정리한 활동지를 제출해야하며, 제출된 자료는 재단 홈페이지 발간물 등을 통해 공공 목적으로 대외 공유 및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지원자 동의 필수)
2. 자격요건
자격요건 - ㅇ구ㅏ분, 모집대상, 세부자격요건으로 구성
구분 |
모집대상 |
세부 자격요건 |
문화정책 자문단 |
문화정책, 문화산업, 문화예술, 도시문화 등 관련분야의 |
아래 중 하나 이상 해당하는 자ul
- ① 관련 분야 경력 7년 이상 전문가
- ③ 문화 관련 위원회 또는 자문단 활동 경험 1회 이상
- ④ 관련 전공 박사학위 소지자
- ② 문화정책 관련 공공 또는 민간 연구 수행 경험자
|
3. 제출서류
제출서류의 상세 내용으로 구성
제출서류 |
상세내용 |
지원신청서 |
지원신청서 양식(붙임 서식 포함)
- 지원원동기, 관련 경험 및 향후 활동계획
-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 동의서 서식
- 성희롱·성폭력 예방 등에 관한 서약서
|
경력증명서 |
문화정책·문화예술·도시문화 등 관련 분야 7년 이상 경력 증빙 |
학위증명서 |
박사학위 소지자일 경우(해당자) |
연구 또는 자문활동 증빙 |
연구보고서 요약, 자문위원 위촉장 등 (해당자) |
※ 지원신청서 붙임서식 다운로드 후 작성·제출

4. 접수방법
※ 등기우편 / 전자우편 / 방문 접수 중 택일
- 등기우편 : (14596) 경기도 부천시 장말로 107, 복사골문화센터 5층 정책기획부
- 전자우편 : narara0102@bcf.or.kr
- 접수마감 : 2025년 8월 1일(금) 18:00 도착분까지 유효
5. 선정절차
선정절차 - 구분, 진행방식, 일정, 내용으로 구성
구분 |
진행방식 |
일정 |
내용 |
1차 |
행정심사 |
8월 2주 |
자격요건 및 제출서류 적격 여부 심사 |
2차 |
서류심의 |
8월 3주 |
분야별 심사위원 서면평가 |
결과발표 |
8월 4주 |
홈페이지 공지 및 개별 통보 |
※일정에 따라 세부 일정 변경될 수 있음
6. 심의기준
문화정책자문단
싱사항목, 배점, 세부평가내용으로 구성
심사항목 |
배점 |
세부평가내용 |
운영 이해도 |
30점 |
문화정책 플랫폼 및 본 사업 구조에 대한 이해도 |
관련 분야 경력 |
25점 |
문화예술, 도시문화, 콘텐츠, 연구 등 관련 경력 |
전문적 역량 |
25점 |
관련 분야의 전문 지식, 발표 및 기고 경험 등 |
협업 경험 |
20점 |
위원회, 심의회, 협의체 등 문화예술분야 사업 및 기관운영 등 다자간 협의 경험, 공공·민간 협업 이력 등 |
※ 문화정책자문단의 평가 기준은 전문성뿐 아니라 참여 의지, 협업 역량, 정책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균형 있게 반영합니다. 특히 본 사업의 목적에 따라,
문화정책을 함께 설계하고 실행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우선 고려합니다.
7. 유의사항(필독)
-
본 협의체는 문화정책 수요자의 현장 의견을 반영하고 지역문화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영됩니다. 모든 활동에 적극적이고 성실 하게
참여하실 수 있는 분만 지원해주시기 바랍니다.
-
오리엔테이션은 필수참석 대상입니다. ※공모 연장으로 인하여 일정 변경됨
- 문화정책자문단 9.3(수) 14시, 문화정책시민랩 9.4(목) 19시
-
협의체 활동비는 회의 참석 후 활동지 검토를 거쳐 지급되며, 지급 시점은 9~10월 예정(총 3회 *일정 변경될수 있음)입니다.
※제출된 활동자료는 재단 홈페이지, 발간물 등을 통해 공공 목적으로 대외 공유 및 활용될 수 있음
-
접수 마감일(8.1.) 18시까지 도착된 서류만 유효하며, 신청서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 위촉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류 누락, 기재 착오, 연락
불능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모두 지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단, 접수 마감 전까지 수정 및 보완 제출 가능
- 제출하는 모든 증빙서류는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본이어야 하며, 필요시 추가 제출 요청할 수 있습니다.
- 본 협의체 운영을 위해 개인정보 수집•이용이 필요하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선정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모든 제출서류에는 반드시 '서명' 또는 '날인'이 필요합니다. 미서명된 서류는 접수되지 않으며, 제출서류는 반환하지 않고 공모 심사 용도로만
활용됩니다.
- 심사와 관련된 평가점수 및 의견 등 세부 자료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 적격자가 없을 경우에는 선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신청 인원 미달 시, 부천시·대학·유관기관 등의 추천을 통해 선정할 수 있습니다.
8. 문의
-
부천문화재단 정책기획부 032-320-6358
※ 평일 10시~17시(공휴일 및 중식 12시~13시 제외)
붙임 문화정책자문단 지원신청서(동의서약서 포함)